더위는 모두에게 평등한가

동자동 폭염 불평등 지도로 보는

여름의 비극

*본 프로젝트는 한국일보, <도시 빈자들의 최후의 주거지 - 지옥고 아래 쪽방>을 데이터 시각화로서 재구성한 프로젝트입니다.

매년 다가오는 여름은 쪽방촌 주민들에게 치명적인 위협이다.

KBS의 보도 자료에 따르면,
한여름 쪽방촌의 표면 온도는 아파트에 비해 30도 가량 높았다.

이예린, [폭염격차]① 쪽방촌 표면 온도 ‘30도 더 뜨거웠다’, 《KBS뉴스》, 2022.07.23.

이러한 현상은 쪽방촌의 열악한 주거 환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쪽방 주민과 용산구 동자동 쪽방 층 단면도

이혜미, 도시 빈자들의 최후의 주거지 - 지옥고 아래 쪽방, 《한국일보》, 2020.06.18.

쪽방촌 주민이 기후 위기에 준 영향은 적으나 피해를 입는 정도는 크다는 점에서

폭염 불평등에 해당한다.

이에 본 프로젝트는 서울시 4대 쪽방촌 중
국내 최대 규모 쪽방촌인 동자동의 폭염 불평등 실태를 조사하였다.

폭염 불평등 실태를 나타내는 점수는
면적당 전력 사용량, 건물 연한과 단열 등급을 반영한 계산식으로 도출하였다.

쪽방촌 일대의 폭염 불평등 점수는 평균 59.7점으로 나타났다.

쪽방촌을 제외한 동자동 일대의 폭염 불평등 점수는 평균 55.7점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동자동 쪽방촌 건물 소유주들의
주거 환경은 어떠할까?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7-10
case 1 img 1

폭염 불평등 점수: 73.25

case 1 img 1
사용승인일1969.11.26.
단열등급0등급
면적당
전력사용량
3.52 kWh/m2
공시지가1억 1900만 원
CASE 1. 강남 건물주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65
대치 쌍용2차 9동 1302호
case 1 img 2

폭염 불평등 점수: 58.34

case 1 img 2
사용승인일1983.11.30.
단열등급1등급
면적당
전력사용량
4.59 kWh/m2
공시지가15억 7300만 원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7-12
case 2 img 1

폭염 불평등 점수: 73.25

case 2 img 2
사용승인일1969.11.26.
단열등급0등급
면적당
전력사용량
3.52 kWh/m2
공시지가1억 7100만 원
CASE 2. 지방 큰손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상남동 44-1
대동아파트 122동 702호
case 2 img 2

폭염 불평등 점수: 51.44

case 2 img 2
사용승인일1994.12.24.
단열등급1등급
면적당
전력사용량
5.56 kWh/m2
공시지가3억 4100만 원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 10-6
case 3 img 1

폭염 불평등 점수: 75.99

case 3 img 2
사용승인일1956.05.26.
단열등급0등급
면적당
전력사용량
4.00 kWh/m2
공시지가-
CASE 3. 고급 주거 단지 주민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19
잠실엘스 166동 904호
case 3 img 2

폭염 불평등 점수: 47.13

case 3 img 2
사용승인일2008.09.30.
단열등급2등급
면적당
전력사용량
3.45 kWh/m2
공시지가15억 8700만 원

관련 기사 전체 보기

서울대학교 연합전공 정보문화학
24-1 비주얼라이제이션 B조
김민서 김재연 이서현 임광섭 정현아

아래로 스크롤하면 시각화 작업물을 자유롭게 둘러볼 수 있습니다.